저신용자의 신용카드 신규 발급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차츰 회복되자 수익성을 회복하기 위한 카드사들의 영업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카드론 등 비은행권 대출도 증가하고 있어 채무건전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24일 나이스신용평가정보가 조사한 가계신용동향에 따르면 신용등급 분류에서 '주의등급'으로 분류되는 7·8등급의 신규 카드 발급이 급증하고 있다.
7등급의 경우 지난해 1분기에 14만2000건이 신규 발급된 이후 꾸준히 늘어 2분기와 3분기에 각각 17만5000건, 18만건의 카드가 발급됐다. 이는 2009년 3분기(11만2000건)와 4분기(12만8000건)와 비교해 볼때 큰 폭으로 증가한 것.
8등급 역시 2009년 3분기와 4분기에는 2만건에도 못 미쳤으나 지난해 1분기 2만3000건, 2분기와 3분기에는 각각 2만9000건 등으로 늘었다. '위험 등급'(9·10등급) 가운데 9등급은 2009년 3분기 신규 발급 5000건에서 지난해 3분기에는 6500건으로, 10등급은 1700건에서 2000건으로 증가했다.
카드발급 건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면서 관련 대출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신용대출인 카드론의 경우, 2009년 1~9월 12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7조9000억원으로 40.1% 급증했다.
카드발급과 이용실적이 증가하면서 나이스신용평가 쪽은 지난해 3분기 현재 가계대출의 채무건전성지수를 '위험'(73.8)으로 평가했다.
금융권에서는 낮은 신용등급자들이 카드를 점차 많이 보유하면서 전체 카드론 대출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카드 신규 발급과 이용실적 증가세는 가계 채무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당국은 저신용자에 대한 신용카드 발급 증가가 카드사간 과열 경쟁에서 비롯됐다고 판단, 신용카드 신규 발급이나 현금대출 등에 대해 일제 점검에 착수했다.
또 카드업계를 상대로 대손충당금을 최고 2배이상 적립토록 하는 방안을 추진해 무분별한 대출자산 증가를 억제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