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종합경기장 개발, 전북도-전주시 갈등 증폭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방안을 둘러싼 전북도와 전주시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전북도와 전주시는 3일 종합경기장 개발 방식을 확정하기 위한 2차 실무협의회를 열었지만 서로 다른 입장차만 확인하고 30분만에 소득없이 끝났다.
이로써 전주 종합경기장 개발 사업은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장기 표류할 우려가 높아졌다. 전북도와 전주시의 갈등의 골도 깊어져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실무협의회는 전주시가 최근 전북도와 협의도 없이 전시·컨벤션센터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단독으로 시행한 것을 두고 시작부터 삐걱였다.
전북도는 “전주시가 실무협의회에서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방식 논의를 진행중인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전시?컨벤션 건립사업 사업방식 결정을 위한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결정한 것부터 실무협의회를 무시한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또 전주시의회 행정위원회에서 컨벤션 건립사업 추진을 할 경우 도와 협의해서 진행하라는 조건부 의결결정을 위반한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어“전주시의 일방적인 전시· 컨벤션센터 개발 사업 추진은 전주시가 부담해야 할 대체시설 확보·설치 의무를 거부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며 “전주시가 대체시설 확보를 위한 확실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 한 실무협의회를 유지할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전북도가 전주시의 종합경기장 전시·컨벤션센터 기본계획수립 용역에 반발해 실무협의회 자체를 보이콧하겠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전주시의 종합경기장 개발 사업은 큰 벽에 부딪혔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전시·컨벤센센터 건립은 국비 등으로 진행되는 재정사업이어서 일정상 용역이 시급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전북도는 사업비 조달 방식에도 의문을 제기, 당초 원안대로 대체경기장과 쇼핑몰 건립에 무게를 뒀다.
전북도는 “종합경기장 대체시설로 육상경기장과 야구장 건립에 필요한 재원을 연차적으로 마련한다는 전주시의 계획은 담보력 있는 실행수단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백순기 전주시 생태도시국장은 “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은 전북 발전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사업인 만큼 빠른 시일내 실무협의회를 다시 열어 접점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방식을 놓고 전북도와 전주시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전주시는 종합경기장 개발사업 방식을 먼저 호텔과 컨벤션센터를 짓고 연차적으
로 재원을 마련해 경기장과 야구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이지만, 전북도는 지난 2004년과 2005년에 각각 체결했던 ‘종합경기장 무상양여시 대체시설 이행각서’와 ‘도유재산 양여계약서’를 당초 원안대로 사업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입장이다.
전주시가 추진하는 종합경기장 개발 방식을 국비 295억원을 포함해 총 사업비 590억원을 들여 2018년까지 전시컨벤션센터를 우선 건립하고, 연차적으로 재원을 마련해 대체경기장을 짓는다는 구상이다.
한편 전주시는 '전주 전시`컨벤션센터건립사업 기본계획수립 및 입찰안내서 작성 용역'업체를 예정대로 선정해 놓은 상태다.
/김영재 기자
<Copyrightⓒ전주매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